데이터 분석(공부)/수학
인과 관계를 밝히기 위한 조사 설계
sinwoo
2022. 7. 31. 23:22
무작위 통제 실험
인과관계를 밝히기 위해선 무작위 통제 실험(A/B테스트)을 실시해야 한다.
무작위 통제 실험 (A/B테스트) 방법
- 표본이 모집단을 대표하도록 조사 대상자들을 선정한다(무작위 추출 등).
- 조사 대상자들을 실험군 혹은 대조군 중 하나의 집단으로 무작위로 임의 배정한다.
- 실험군에는 알아보고자 하는 독립변인 하나만을 조작하고 나머지 모든 조건은 대조군과 일치시킨다.
- 참가자를 각 집단에 무작위 임의 배정하여 독립변수 외 다른 변수의 영향이나 기타 편향을 방지한다.
'구매 단계 복잡도'가 '구매 포기'의 원인이라는 것을 증명하는 방법은 A/B 테스트로 검증하는 것이다!
A/B테스트 실험 방법
결과의 내적 타당성, 외적 타당성
조사는 내적 타당성과 외적 타당성을 만족하도록 설계하는 것이 중요하다.
내적 타당성 | 외적 타당성 | |
검토 대상 | - 실험 결과가 정말 실험 처치(조작된 독립변인) 때문에 일어난 것이라고 볼 수 있는가? - 인과관계를 얼마나 확신할 수 있는가? |
- 실험 결과를 다른 대상과 상황에게 어느정도 일반화 시킬 수 있는가? |
통제 방법 | - 실험 처치 이외 모든 변수는 실험군 & 대조군에 동일하도록 만든다. | - 조사 대상을 무작위/확률적으로 추출하여 대표성을 높인다. |
A/B 테스트 진행
선별된 조사 대상자들을 대상으로 본격적으로 A/B테스트를 진행해보자.
비교할 두 집단 중 집단A(실험군)은 구매절차를 단축한 리뉴얼 된 장바구니로 구매를 진행할 것이고, 집단B(대조군)은 기존 장바구니를 이용하여 구매를 진행할 것이다.
장바구니 외 다른 모든 조건은 두 집단 사이에 동일하다.
조사 대상자들을 두 집단 중 하나의 집단에 임의로 배정한 후 각 집단의 평균 판매량을 측정한다.
그리고 두 평균 판매량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통계 분석을 한다.
선변된 조사 대상자들을 하나의 집단에 무작위 배정한다 -> 리뉴얼 된 장바구니(실험군) -> 판매량 측정 -> 비교(cf. T검정)
-> 기존 장바구니 (대조군) -> 판매량 측정 ->비교(cf. T검정)